총파업 궐기대회에 참석한 전국삼성전자노조 조합원 (사진출처: 연합뉴스)
삼성전자 노사가 29일부터 31일까지 진행한 '끝장 교섭'이 결국 결렬되면서 삼성전자 노동조합(전삼노)의 무리한 요구가 재차 도마 위에 올랐다.
임금 인상과 복지 확대 등 대부분의 요구를 수용한 회사 측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노조가 협상 막판에 200만 원 상당의 복지포인트(패밀리넷 포인트) 지급을 추가 요구하면서 사태가 급격히 악화됐다.
삼성전자 노조는 파업에 돌입하면서 △노조창립기념일 유급 휴가 부여 △노조원 대상 추가 0.5% 임금인상 △성과급 산정기준 개선 △파업 참여 노조원 임금손실 보상 등을 요구했다.
회사 측은 이에 대응해 △노조 총회 연 8시간 유급 활동 인정 △전 직원 여가포인트 50만 원 지급 △향후 성과급 산정 기준 개선 시 노조 의견 수렴 △2024년에 한 해 연차휴가 의무사용일수 15일에서 10일로 축소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회사 측의 제안은 노조의 요구를 상당 부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가포인트 50만 원 지급은 임금 인상률 0.5%보다 높은 금액이며, 연차휴가 의무사용일수를 줄이는 방안은 파업 참여 노조원들의 임금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노조는 협상 막판에 삼성전자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200만 원 상당의 패밀리넷 포인트 지급을 요구했고, 사측이 이를 거부하면서 협상은 결국 결렬됐다.
*패밀리넷에서 제품을 구매하여 중고거래로 시장에 되팔면 사실상 현금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재계 관계자들은 노조의 이번 요구가 노동법에 명시된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무시하는 무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삼성전자 사측은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무노동 무임금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한편, 노조의 비현실적인 요구로 인해 협상이 결렬되면서, 파업 참여 노조원들이 막대한 임금 손실을 입게 될 것이라는 우려또한 커지고 있다.
노조의 무리한 요구는 노사 간의 신뢰를 저해하고, 회사의 운영에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이번 파업이 노조원 855명의 이익을 위해 진행된 것이라는 점에서, 노조의 명분과 실리 모두를 잃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노조의 요구가 과도하다는 점에서, 노조원들의 임금 손실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노조는 교섭 결렬 직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자택 앞에서 파업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4일까지 대표 교섭노조 지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전까지 노사 협상이 종결되지 않으면 다른 노조들도 사측에 교섭을 요구할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삼노와 계속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히며, 노사 간의 협력과 대화가 지속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인해 노사 간의 신뢰가 크게 훼손된 만큼, 향후 협상에서의 갈등 해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