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을 비롯한 소속 의원들이 5일 국회에서 열린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당내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조국혁신당이 성 비위 사건 파문으로 지도부 전원이 사퇴하며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피해자들의 호소에도 미흡한 대응을 보여온 당 지도부가 결국 책임을 지게 된 것이다.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을 포함한 최고위원 전원은 8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권한대행을 맡아왔던 김선민 전 대행은 “법적인 절차를 뛰어넘어 마음의 상처까지 보듬지 못했다”며 피해자들에게 사과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 4월 강미정 당시 당 대변인이 상급 당직자를 성추행 혐의로 고소하면서 시작됐다. 강 전 대변인은 “사건이 접수된 지 다섯 달이 되어 가는 지금까지도 피해자 지원 대책은 전혀 마련되지 않았다”고 비판한 바 있다. 피해자는 1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국 전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당일에도 성추행 사건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문은 더욱 커졌다.
사건 이후 지도부의 발언은 논란을 키웠다. 이규원 사무부총장은 “성희롱은 범죄가 아니다”라는 발언으로 가해자를 두둔했고, 최강욱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은 “그게 무슨 문제가 되느냐”는 이른바 ‘개돼지’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 최 전 원장 역시 논란 끝에 사의를 표명했다.
특히 조국 전 대표가 성 비위 사실을 알고도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책임론이 불거졌다. 조 전 대표는 “당시 당적 박탈로 할 수 있는 역할이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당 안팎에서는 “사면복권으로 복귀한 뒤에도 모르쇠로 일관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강미정 전 대변인은 지도부 총사퇴에 대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책임 있는 결정을 보여준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조국혁신당은 오는 11월 전당대회까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당내에서는 조국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어 그의 조기 복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