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니 우 Jony Wu 샤오미코리아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샤오미코리아 제공)
중국의 대표적인 가성비 전자제품 브랜드 샤오미가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며, 50만원대 AI폰을 선보였다. 이번 진출은 샤오미가 국내 총판을 통한 유통 방식을 넘어,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며 이루어진 것이다.
AI 기능 강화한 신제품, 삼성·애플 틈새시장 공략
샤오미코리아는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기능을 대폭 강화한 샤오미 14T와 가성비 모델인 레드미 노트 14 프로 5G를 공개했다.
샤오미 14T는 라이카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고성능 카메라와 독자적인 AI 기능으로 주목받았다. AI 필름, 실시간 통역, 이미지 편집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14T는 59만원대라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출시된다.
레드미 노트 14 프로 5G는 39만원대로, 통신 3사와 협력해 공시지원금과 약정 할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소비자 경험 확대.. 오프라인 매장 계획
샤오미코리아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열어 제품 체험부터 구매, AS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국 소비자들에게 더욱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니 우 샤오미코리아 사장은 "15년간 이어진 한국 내 샤오미 팬 커뮤니티의 성원을 바탕으로 현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AS와 고객 소통에 중점을 두어 한국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겠다"고 말했다.
가성비와 서비스로 경쟁력 강화, 과제는 인식 전환
샤오미는 스마트폰 외에도 스마트워치, 로봇청소기, TV 등 다양한 제품군을 한국 시장에 소개하며 소비자층 확대를 노리고 있다. 하지만 ‘외산폰의 무덤’으로 불리는 한국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는 쉽지 않은 도전으로 평가된다.
삼성과 애플이 각각 80%와 19%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사실상 한국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상황에서, 샤오미는 제품의 경쟁력 외에도 중국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국내 통신사 관계자는 "샤오미의 가성비 전략은 매력적이지만, 한국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샤오미의 진출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관심이 집중된다"고 전했다.
샤오미의 한국 진출이 시장 판도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을지는 앞으로의 행보에 달려 있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