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부, 과학기술 국제협력 강화 위한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 내년 발표

과학·기술

by 시사 IMPACT 2024. 12. 11. 19:00

본문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11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2024 K-사이언스&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는 대한민국을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로 자리잡기 위한 국제협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를 내년 발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2024 K-사이언스&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에서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중장기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포럼에는 73개국과 4개 국제기구의 주한 외교관 108명을 포함해 총 200여 명이 참석했다.

 

민관 협력 중심의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

 

과기정통부의 구혁채 기획조정실장은 과학기술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 민관 협력(PPP) 사업을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를 소개했다. 이어 "민간 부문에서 잘하고 있는 분야를 정부가 뒷받침하고, 민간의 국제협력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분야별 및 지역별 협력 방안을 차별화하고,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 생태계의 고도화를 추진한다. 또한 해외 재외공관 및 출연연 거점센터와 과학기술 한인 커뮤니티 간의 협력을 촉진할 전담기관을 신설하거나 지정할 예정이다.

 

미국 및 유럽, 아시아와의 협력 강화

 

정부는 미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참여, 글로벌 AI 프론티어랩 구축 등이 주요 협력 사항이다. 또한 내년에는 우리나라가 유럽연합(EU) ‘호라이즌’ 프로그램에 준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유럽과의 협력도 더욱 강화된다. EU의 ‘호라이즌’ 프로그램은 2021년부터 2027년까지 955억 유로(약 140조 원)를 지원하는 세계 최대 다자협력 연구개발(R&D) 프로그램으로, 한국은 이를 통해 EU와의 연구 협력을 심화할 계획이다.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도 강화될 예정으로, 내년 APEC 정상회의 유치를 기회로 아시아 지역 협력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과기부의 중장기 목표, 글로벌 R&D 투자 확대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대한민국은 세계 각국과 협력하며 과학기술의 글로벌 허브로 거듭날 것"이라며,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민간 공동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글로벌 R&D 투자 규모를 1조8000억 원으로 확대했으며, 과학기술 국제협력에 관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담은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법 제도 정비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양자컴퓨터 및 AI 기술의 글로벌 협력, ‘AI 혁명’의 미래

 

이날 기조연설에서는 양자컴퓨터 연구자 채은미 고려대 교수와 세계적 인공지능(AI) 석학 얀 르쿤 뉴욕대 교수가 연설했다. 르쿤 교수는 AI 혁명에 대해 "진짜 혁명은 앞으로 5~10년에 걸쳐 일어날 것"이라며, 현재 AI 기술의 발전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어 "대규모언어모델(LLM)은 인간이 사는 환경의 복잡성을 이해하지 못한다"며, AI의 다음 단계로 고급 기계 지능(AMI)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메타가 개발 중인 ‘목표 지향 AI’(ODA)와 같은 기술이 인간화된 로봇 개발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르쿤 교수는 AI 기술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어 "모든 기업과 연구자들이 오픈소스 기반으로 협력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전 세계 언어를 담는 AI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새 장을 여는 대한민국

 

이번 포럼은 한국이 과학기술 글로벌 협력의 중심에 자리잡기 위한 첫걸음으로, 다양한 국가와의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한국은 과학기술 외교를 강화하고, 민관 협력 및 글로벌 연구개발을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예정이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