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배달 시장이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배달앱 3사의 ‘무료배달’ 정책으로 배달앱을 통한 음식 주문이 급증하며 시장 규모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연간 거래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14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온라인 음식 서비스(배달 음식)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7조772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달 시장이 전성기를 맞았던 2021년 3분기의 거래액 6조9861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이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의 누적 거래액은 21조4148억원에 달하며, 현재 속도를 유지할 경우 연간 거래액이 27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최대 거래액은 2022년 기록한 26조5854억원이다.
배달 시장의 이같은 급성장은 쿠팡이츠,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 3사가 도입한 무료배달 정책 덕분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 3월 쿠팡이츠는 ‘와우멤버십’ 회원에게 무제한 무료 배달 혜택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이후 요기요도 ‘요기패스X’ 멤버십을 통해, 배달의민족은 ‘배민클럽’ 출시로 각각 무료배달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치열한 경쟁에 나섰다.
무료배달 정책을 처음으로 시행한 쿠팡이츠의 성장세는 더욱 돋보인다. 쿠팡이츠는 ‘와우멤버십’을 통해 로켓배송, 쿠팡플레이 등의 혜택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의 충성도를 높였다. 데이터 분석업체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쿠팡이츠의 10월 신용·체크카드 결제액은 4978억원으로 연초 대비 84.3% 증가했다. 반면, 경쟁사 배달의민족은 같은 기간 결제액이 9130억원으로 12.5% 감소하며 성장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사용자 수 측면에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배달의민족은 여전히 월간활성이용자수(MAU) 2207만명으로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쿠팡이츠가 빠르게 추격하며 MAU가 883만명에 달했다. 특히 쿠팡이츠는 5월 대비 MAU가 26.5%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는 반면, 배달의민족은 1% 성장에 그쳤다. 요기요는 사용자 수가 감소해 496만명을 기록, 5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시장 점유율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배달의민족은 점유율 85.3%로 여전히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전월 대비 소폭 하락했다. 반면 쿠팡이츠는 9월 31.9%에서 10월 34.1%로 상승하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