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8월 준공 후 지방 미분양 주택 총 1만3640가구

부동산·경제

by sisaimpact 2024. 10. 13. 21:39

본문

전국 1만6461가구중 82.8%가 지방에 집중..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 (사진: 뉴스1)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소식에 서울을 중심으로 한 건설 경기의 반등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현실은 심각하다. 수도권에서는 훈풍이 느껴지지만, 지방 건설 경기는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미분양 주택의 대량 적체와 다양한 개발 사업의 중단은 이제 지방의 건설업체들에게 비극적인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9월 건설경기실사 실적·전망지수'에 따르면, 서울의 건설경기실사지수(CBSI)는 83.8로 집계된 반면, 지방은 77.0에 그쳤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CBSI는 100을 초과해야 건설 경기 상황에 대한 낙관적 시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방의 수치는 그 한계를 크게 밑돌고 있다. 결국, 지방의 기업들은 서울 기업들에 비해 더욱 비관적으로 상황을 바라보게 되었다.

가장 큰 문제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으로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총 1만6461가구인데, 이 중 82.8%인 1만3640가구가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즉, 지방 주택 시장은 경기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그로 인해 미분양 주택이 쌓이고 있는 현실이 그대로 드러난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부동산 경기의 침체가 단순히 경기순환의 한 과정이 아니라는 점이다. 올해 들어 지방에서 부도난 건설업체는 총 23곳에 달하며, 이는 부산 5곳, 경기 3곳 등 대부분이 지방에서 발생했다. 서울에서는 단 한 곳의 부도 사례만 보고되고 있다. 이는 지방 건설 시장의 위축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세제 혜택과 공급 제한을 통해 미분양 해소를 시도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일시적인 대책에 불과하며, 이런 노력들이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러한 정책들이 실효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실질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결정이 필요하다.

결국,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가 기대되는 효과를 가져오려면 수도권의 호황만큼이나 지방 경제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개선이 따라야 한다. 비극적인 현실이 지속된다면, 이 같은 '훈풍'은 지방에겐 허망한 메아리로 남을 것이다. 과연 언제쯤 지방 건설 경기가 반등할 수 있을지, 그 해답은 아직 멀어 보인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