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끊이지 않는 역사 논쟁, 학교에선?

교육·청소년

by sisaimpact 2024. 8. 21. 15:21

본문

(시사 IMPACT) 선수빈 기자 = 역사는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다. 최근 벌어진 역사 논쟁에 대해 다양한 시각과 해석이 공존하는 가운데, 학교에서 역사 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을까?

역사 교육의 중요성
 다양한 역사 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학생들에게 국가의 역사와 문화를 가르쳐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국가의 통합과 일체감을 강조하며, 역사 교육을 통해 국가의 연대감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뿐만 아니라, 역사 교육은 국가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이념을 학생들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국가가 중시하는 가치와 이념을 역사적 사례와 함께 가르쳐, 학생들이 이러한 가치를 내재화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시대에 따라 ‘국가’가 강조하는 이념과 가치는 달라질 수 있으나 ‘정부’에 따라 그 이념과 가치가 달라진다면 학생들은 상당한 혼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어떤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는 매우 중요하다.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변화
 대한민국의 역사 교육은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변화를 통해 그 방향성을 달리 해왔다. 역사 서술은 정치적 이념과 시각에 따라 교과서의 내용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2015년 10월, 박근혜 정부에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확정하자 역사 기술에 대한 정치적 개입이 우려되며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대한 반발로 검정 교과서를 지지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결국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에 이르러 국정 교과서 방침은 폐지되었다.
 국정 교과서는 국가가 교과서 저작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국가가 그 저작권을 가진다. 검정 교과서는 민간이 교과서를 집필하되, 국가가 정한 검정 기준을 통과해야 교과서로 사용될 수 있다.
 한국사 교과서를 예로 들어보면, 국정 교과서를 사용할 경우 국가에서 우리 역사를 해석하고 서술하여 교과서를 집필하는 것이다. 전국의 학교에서 모두 일관된 내용을 가르쳐 혼돈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부의 ‘입맛'대로 역사가 해석될 수 있는 ‘편향성 문제'가 있다.
 학교에서의 역사 교육은 교과서에 기반하되, 교사의 해석과 교수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교사의 개인적인 정치적 성향이나 교육적 철학이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그 기반과 기준은 언제나 교육과정과 교과서이다.

ⓒ 선수빈 기자

역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역사 교육은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배우는 것을 넘어서,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과서의 형식과 내용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정 교과서와 검정 교과서는 각 장단점이 있으며, 하나만을 고집하는 행태는 옳지 않다. 학교는 이러한 제도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균형 잡힌 역사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고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내용과 교육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개선이 필요하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