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세를 찾아가던 물가가 다시 요동치며 서민들의 밥상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연이은 폭우와 변덕스런 날씨로 인해 전국 농경지가 침수피해를 입으며 채솟값이 급등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10일 오후 6시 기준, 여의도 면적(290ha)의 33배에 달하는 재배지가 침수되거나 피해를 입었다.
침수된 농작물 면적은 9522ha, 유실·매몰된 농경지는 88.1ha로 집계됐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충남으로, 전체 피해의 73.6%인 7008.6ha가 침수되었으며, 특히 서천 지역에서 4258.6ha의 피해가 집중되었다.
경북과 전북도 각각 1318ha, 1008.2ha의 피해를 보았다.
피해는 품목별로도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벼 재배지가 전체 피해의 78.3%를 차지하며 7456.3ha가 침수되었고, 콩(468.2ha), 고추(309.1ha), 수박(116.2ha), 포도(99ha), 멜론(85.8ha), 참외(73.5ha) 등 주요 작물들도 피해를 입었다.
이번 폭우로 인한 피해는 이미 시장에 반영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오이(10kg) 가격은 2주 만에 8667원(65%) 상승해 2만2000원을 기록했고, 청양고추(46.8%), 시금치(41.1%), 상추(31.3%) 등 주요 채소류 가격도 일제히 급등했다.
장마철이 끝나더라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손석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장마 이후에도 8월부터 태풍이 예보되어 있어 농작물 피해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비닐하우스는 특히 태풍에 취약해 낙과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또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7월 관측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배추와 무 등 주요 채소류의 생장이 평년보다 저조하다.
고온과 가뭄으로 생육이 지연되고 있어 채솟값 상승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폭우와 변덕스러운 날씨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지속되면서 밥상 물가는 당분간 큰 폭으로 요동칠 전망이다.
서민 물가안정과 민생안정을 위한 정부의 신속하고 철저한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