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새벽배송금지", 새벽배송 기사 93%가 반대

사회

by sisaimpact 2025. 11. 4. 15:39

본문

새벽배송 기사 2405명 중 93%가 금지에 반대

응답자의 95%는 “심야배송 지속하겠다”

서울의 한 쿠팡 물류센터 (사진: 연합뉴스)

새벽 0시부터 오전 5시까지의 ‘심야배송’을 금지하자는 민주노총의 제안이 나오자, 택배노동 현장이 들끓고 있다. 노동자의 건강권을 지키자는 주장과 생계가 달린 일터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새벽 0시부터 5시까지 배송을 제한하고, 오전 5시·오후 3시 출근의 주간 연속 2교대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과로와 수면 부족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쿠팡 위탁 택배기사 약 1만 명이 속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이에 강하게 반대했다. CPA가 지난 3일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새벽배송 기사 2405명 중 93%가 금지에 반대했고, 응답자의 95%는 “심야배송을 지속하겠다”고 답했다.

 

CPA는 “새벽배송 금지는 야간 기사 생계 박탈 선언이자 택배산업 자해행위”라고 주장했다. 또 “오전 5시부터 배송을 시작하면 출근 시간 교통 혼잡과 엘리베이터 사용 증가로 현실적으로 배송이 어렵다”며 민주노총의 제안이 현장을 모르는 ‘탁상안’이라고 비판했다. CPA는 민주노총이 “현장 목소리를 무시하고 받아쓰기식 주장을 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 논란은 정치권으로도 번졌다. 3일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새벽 배송을 하시는 분들은 강요에 의해 선택한 것이 아니다”라며 “야간은 교통이 원활하고 수입이 높아 스스로 선택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새벽배송 금지는 과로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없고, 오히려 다른 근로자들의 새벽 노동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은 “직업 선택의 자유가 죽음을 각오한 선택을 포함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는 지난해 정부의 쿠팡 실태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쿠팡 야간 노동자들은 주 52시간을 초과해 일하고 있고, 야간 노동은 과로사 판정 시 30%가산된다”며 “현재 새벽배송 노동자들은 상시적 과로사 위험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장 전 의원은 “심야배송 전면 금지가 아니라 최소한의 규제를 통해 건강권을 보장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신중한 입장이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회적 대화를 통해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