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하면서 장관 임명을 사실상 강행하는 모양새를 취하자, 여권 내외에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보좌진 갑질, 예산 유용, 교수 시절 무단 결강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된 강 후보자에 대한 여론은 부정적이며, 대통령 지지율까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주 내 장관 임명을 마무리하겠다는 방침 아래 청문보고서 재송부 기한을 3일로 제한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인사 강행을 비판하며 반발했고, 여권 내에서도 복잡한 셈법이 얽힌 반응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은 공식적으로는 강 후보자 임명을 철회하라고 촉구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임명을 오히려 환영한다"는 분위기다. 일부 중진 의원들은 "강 후보자를 조기에 낙마시켰다면 야당 입장에서 오히려 전략적 기회를 잃었을 것"이라며 "민주당 내 갈등이 불거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균열이 감지된다. 친명계 이소영 의원은 “보좌진을 일반 노동자와 다르게 본다는 주장은 노동 감수성을 강조해온 민주당의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보좌진들 사이에서도 실망과 분노가 표출되고 있으며, "동지적 갑질"이라는 표현으로 문제를 희석하려는 시도는 2차 가해라는 지적이 나온다.
강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조원씨앤아이가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60.2%가 강 후보자가 장관직에 부적합하다고 응답했으며, 적합하다는 응답은 32.2%에 그쳤다. 특히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호남과 40~50대에서도 부적합 응답이 더 높았다.
강 후보자의 과거 행적도 도마 위에 올랐다. 겸임교수 시절 무단 결강 5주, 대체 수업으로 녹음 파일을 제공했다는 보도는 책임감 결여 논란을 키웠다. 당시 수강생들은 "강의를 한 줄 스펙으로 활용했다", "정치인의 책임감을 의심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서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했고, 강준욱 대통령실 비서관이 논란 끝에 자진 사퇴했지만, 강선우 후보자 임명에는 더 이상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통령실은 “예상 범주를 넘어선 문제 제기”라며 인사 시스템의 책임 문제를 일축했지만, 여론과 당내 반응은 점점 더 불편한 기류로 흘러가고 있다.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가 민주당 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단식 투쟁을 하던 중 자리에 눕자 이불을 덮어주고 있다. (사진: 델리민주 캡처)
현재 인사청문회를 마친 장관 후보자는 총 16명이며, 국회는 강 후보자를 포함한 일부 후보자에 대한 보고서 채택을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다. 강 후보자 임명이 강행될 경우, 여당 내 갈등과 지지층 이반, 그리고 향후 국정 운영에 미칠 파장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