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헌법재판소 인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에 참가한 2030청년세대와 지지자들 (사진: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국민의힘 내부의 전략적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계엄 조치 이후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바 있으나, 이를 단순한 ‘이념의 승리’로 해석하는 것은 본질을 놓치는 것이다. 이번 보수 결집은 특정 진영의 승리가 아니라, 국민이 ‘합리성’에 반응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국민의 선택, ‘이념’이 아닌 ‘합리성’이었다
윤석열 정부의 계엄 조치는 정치적으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과적으로 보수·중도층의 광범위한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는 단순한 보수-진보의 이념 대결이 아닌, 국민이 ‘안정성과 합리성’을 선택한 결과였다. 즉, 국민은 이념적 구호가 아니라 현실적인 국정 운영 능력과 법치주의 원칙에 반응했던 것이다. 이와 관련해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1. 국민은 ‘불안정한 대안’보다 ‘안정적인 체제’를 선호한다. 탄핵 국면에서 윤석열 정부의 법치주의 원칙이 강조되었고, 이에 대한 국민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극단적인 정쟁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국정 운영이 더 큰 신뢰를 받는다는 점이 입증됐다.
2. ‘이념적 충성심’보다 ‘합리적인 선택’이 보수 결집을 이끌었다. 보수층 내부에서도 계엄 조치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율 상승이 나타났다. 이는 국민이 단순한 이념적 이유가 아니라, ‘국가 시스템 유지’라는 현실적 이유로 윤 정부와 국민의힘을 선택했음을 의미한다.
■ ‘합리적 보수’로 중도층을 잡아야 한다
국민의힘은 계엄 이후 상승했던 지지율이 단순한 ‘보수층의 결집’이 아니라 ‘합리적 선택의 결과’였음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중도층이 보수에 기회를 준 것은 이념적 선동이 아닌,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원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1. 실질적 정책 비전 제시 경제, 노동, 복지 등 현실적인 정책을 중심으로 국민들에게 신뢰를 줘야 한다. 청년층과 중도층이 체감할 수 있는 실용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2. 이념 대결이 아닌 ‘합리성 프레임’ 강화 윤 정부와 국민의힘은 극단적 보수주의가 아닌, ‘국가 운영의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쪽으로 메시지를 조정해야 한다. ‘국가를 지키는 합리적인 세력’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해야 한다.
3. 이재명 ‘중도보수’ 행보와의 차별화 이재명 대표가 ‘중도보수’라는 전략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정책 비전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해야 한다. 국민의힘은 단순한 정치적 수사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통해 ‘진짜 중도보수’로 자리 잡아야 한다.
■ ‘합리성의 승리’를 지켜내야 한다
계엄 이후의 지지율 상승은 단순한 보수층의 결집이 아니라, 국민이 ‘안정적인 국정 운영’과 ‘합리적인 선택’을 지지했기 때문이었다. 국민의힘이 이를 단순한 이념적 승리로 착각한다면, 정치적 주도권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국민의힘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명확하다. 이념 대결이 아닌 ‘합리성의 프레임’을 구축하고, 실질적인 정책으로 중도층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극단적 대결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안이다. 국민의힘이 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실천한다면, 정치적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