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 제2차 전원위원회가 열리는 10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 방어권 보장 안건’ 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10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과 관련해 국가인권위원회가 ‘방어권 보장’ 안건을 논의하는 가운데,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인권위 앞에 모여 강하게 항의했다. 지지자들은 "대통령도 한 명의 국민이며,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있다"며 방어권 보장을 촉구했다.
이날 오전 8시부터 지지자들이 인권위 앞에 집결했다. 일부는 인권위 14층 회의실로 진입을 시도했으며, 정문과 엘리베이터 앞에서 출입 인원의 신원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에 경찰이 출동해 해산을 시도했으나 지지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한 지지자는 "탄핵 찬성 세력이 회의를 방해할 가능성이 크다"며 "전원위원회가 정상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전 한 차례 해산한 지지자들은 오후 2시 다시 모여 집회를 이어갔다. 지지자들은 "무죄추정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며 윤 대통령이 정당한 법적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인권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보수 성향 단체들도 합류해 “탄핵은 정치적 폭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권위는 오후 3시 20분경 회의를 시작했다. 이날 논의된 '윤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에는 "헌법이 부여한 대통령의 고유 권한 행사는 탄핵 사유가 될 수 없으며, 야당이 의석수를 이용해 탄핵을 남용하는 것은 국헌문란"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반면, 일부 야당 추천 인권위원들은 해당 안건이 "내란을 옹호하는 것과 다름없다"며 반발했다.
회의를 앞두고 탄핵을 찬성하는 시민단체들의 집회도 예고됐지만, 지지자들과의 충돌을 우려해 취소됐다. 한편, 지지자들은 "정당한 법적 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며 22일까지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인권위 주변에 기동대 2개 부대, 120여 명을 배치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