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설] 후쿠시마 방사능 괴담 1년.. 선동의 실체와 침묵한 진실

사설·칼럼·인터뷰

by 시사 IMPACT 2024. 8. 24. 15:18

본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2023년 8월 24일 오후, 부산해운대해수욕장에서 환경운동연합과 부산고리2호기 수명연장·핵폐기장 반대 범시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이 원전오염수를 뜻하는 대형 노란색 비닐을 활용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에 반대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1년이 지난 현재,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뜨거운 감자로 남아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동안의 논란이 과연 얼마나 사실에 기반했는지, 또는 얼마나 정치적, 감정적 선동에 의해 부풀려졌는지를 냉철하게 재평가 할 필요가 있다.

먼저, 일본의 처리수 방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여러 과학자들의 검토를 거친 끝에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미미하다는 결론이 내려진 사안이다. 일본은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후 방류했으며, 이 과정에서 남아 있는 삼중수소의 농도는 국제적으로 허용된 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유지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내에서는 이 사실을 무시한 채 과도한 공포가 조성됐다.

1년이 지난 지금, 당시의 우려와 달리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로 인한 방사능 피해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오히려 방사능에 대한 공포는 시간이 지나면서 상당 부분 사그라들었고, 후쿠시마 수산물에 대한 금지령이나 규제 역시 완화되거나 철회된 경우도 있었다. 이는 처음부터 방사능 괴담이 과장된 측면이 컸음을 시사한다.

과거 러시아의 동해 오염수 방류 사례와 비교해 보더라도, 일본의 조치는 훨씬 엄격한 기준과 절차를 따랐다. 과거 러시아는 오염수뿐만 아니라 핵 폐기물을 동해에 무단 방류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방사능 피폭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처리수 방류에 대해서만 유독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과학적 근거보다는 정치적 선동에 의한 것이었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또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오염수 방류가 초래할 해양 환경 변화는 주로 미 연방 태평양 제도와 미국 서부 해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간과되어 왔다. 당시 오염수 방류가 실제로 미국 영해에 미쳤을 영향이 한국보다 더 컸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크게 문제 삼지 않았다. 이 점은 한국이 일본의 처리수 문제에 대해 지나치게 과민 반응을 보였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처리수 방류 이후 1년이 지난 현재, 한국 내에서 방사능 괴담을 조장했던 정치 세력들은 여전히 이 문제를 이용해 정치적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그들은 일본의 방사능 공포를 부추기면서도, 정작 자신들은 일본을 방문해 수산물을 소비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모순은 대중의 불안을 이용한 정치적 기만을 드러내는 증거이다.

더욱이,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 이후 한국 사회에서 벌어졌던 천일염 사재기, 수산물 불매운동 등은 시간이 지나면서 그 비합리성이 더욱 명확해졌다. 천일염 사재기는 실제로 방사능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사회적 자원의 낭비만을 초래했다.

이제 우리는 과거의 논란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방사능에 대한 공포는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냉정하게 접근해야 하며, 무분별한 선동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

1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얼마나 과장되고 정치적으로 이용되었는지를 돌아보며, 앞으로는 보다 성숙한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해야 한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는 합리적 근거에 기반한 판단과 결정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