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펫티켓’의 기준, 어디까지 왔나…2025 반려동물 보고서가 던진 질문

사회

by sisaimpact 2025. 7. 17. 10:51

본문

자료 : KB경영연구소 ‘2025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인구가 1500만 명을 넘어선 지금, ‘펫티켓’의 의미와 책임을 다시 묻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KB경영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2025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는 반려가구와 비반려가구 간의 인식 차이, 그리고 서로의 펫티켓 위반 경험을 통해 지금 우리가 마주한 공존의 갈등을 드러냈다.

 

조사에 따르면 반려가구의 87.2%, 비반려가구의 68.2%가 “반려동물은 가족의 일원”이라는 인식에 동의했다. 특히 비반려가구의 동의율이 해마다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꾸준히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공공장소에서의 실제 행동과 인식 사이에는 여전히 깊은 간극이 존재한다. 반려가구의 71.4%는 자신들이 펫티켓을 잘 지킨다고 답했지만, 비반려가구가 주변 반려인의 펫티켓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19%에 불과했다. 특히 비반려가구는 배설물 방치(61.4%)와 목줄 미착용(47.6%)을 대표적인 펫티켓 위반 사례로 지적했다.

 

이 가운데 ‘소변’ 문제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기존에는 대변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최근 도심 화단과 가로수 등에서 반복적으로 개 소변이 쌓이며 환경 문제로 번지고 있다. 개 소변에 포함된 고농도 질소와 염분은 식물 고사와 토양 오염을 유발하고, 지하수 질산염 축적 등 연쇄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도 제시됐다.

 

그럼에도 현행법은 대변에만 처리 의무를 명시하고 있고, 소변에 대해서는 실내 일부 구역을 제외하면 별다른 규정이 없다. 이 같은 법적 공백은 아파트 화단 등에 소변금지 안내판이 등장하면서 찬반 논란을 낳고 있다. 소변은 “위법이 아닌데 왜 통제하느냐”는 반론과 “식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는 입장이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매너워터’ 사용 캠페인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매너워터는 반려견이 소변을 본 자리에 보호자가 물을 뿌려 성분을 희석하는 문화로,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 권장되고 있다. 퍼듀대 연구에 따르면 소변 직후 물을 부으면 질소와 염류 농도가 낮아지고 토양 피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펫티켓 교육의 방향을 두고도 시사점을 남겼다. 반려가구는 반려인과 비반려인 모두에게 펫티켓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비반려가구는 교육의 책임을 주로 반려가구에 한정해 인식했다. 이는 공존을 위한 이해와 협력이 여전히 부족함을 보여준다.

 

반려동물이 단순한 ‘애완’을 넘어 가족 구성원으로 자리 잡은 지금, 펫티켓은 선택이 아닌 기본 상식이 되어야 한다. 이제는 법과 문화, 시민의식이 함께 진화해야 할 시점이다.

 

☞ 사회를 바꾸는 힘! 시사 IMPACT

sisaimpact2024@daum.net
sisaimpact@kakao.com

Copyright © 시사 IMPAC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