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 비이재명(비명)계 정치인들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당 지지율 하락과 이재명 대표 체제의 한계가 부각되면서, 이들은 조기 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존재감 강화와 당내 정치적 공간 확보를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비명계 잠룡들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에도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지지율 역전을 허용한 점을 지적하며, 이재명 대표 단독 체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들의 발언은 민주당 내 일극 체제의 균열을 예고하며 당내 논쟁의 중심에 서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을 두고 "민주당은 신뢰의 위기 상황에 놓여 있으며 민심이 떠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어느 한 사람의 독주를 허용하지 않는 다원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당내 소통과 협력을 강조했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재명 대표 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맡기는 지금의 민주당은 국민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민주당의 강공 일변도 전략에 국민적 피로감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민생 회복과 국정 안정을 위해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도 "정권 교체의 길은 이재명만이 아니라 다양한 길이 있을 수 있다"며 당내 사법 리스크와 조기 대선 중심 전략을 비판했다.
비명계 정치인들은 연대를 통한 세력화를 모색하고 있다. 비명계 중심의 원외 모임인 '초일회'는 간담회와 강연회를 통해 비명계 주자들의 연대를 논의할 계획이다. 한 비명계 인사는 "이재명 대표 체제의 대안 논의가 당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들의 움직임이 실질적인 당내 세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친명계에서는 이들이 자신의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친명계 관계자는 "결국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기대는 움직임은 야권 지지층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비명계의 본격적인 활동 재개가 민주당 내 세력 재편과 향후 대선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