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팀, RNA 타겟팅 CRISPR-dCas13 기반 유전자 번역 다수준 조절 시스템 개발
기존 DNA 타기팅 크리스퍼 간섭 시스템 대비 오페론 내 유전자 특이적 발현 조절 가능 미생물 내 대사 경로 정밀 조절 및 물질 생산 극대화에 활용 기대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6월 22일 온라인 게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 연구팀이 미생물 세포공장에서 유전자 발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생물학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유전자 조절에 CRISPR-dCas9 또는 dCpf1이라는 도구가 주로 사용됐지만, 이들은 여러 유전자가 함께 발현되는 오페론 구조에서 모든 유전자의 발현을 한꺼번에 억제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오페론 구조 내의 각 유전자의 발현을 독립적으로 억제해 그 영향 파악에 걸림돌이 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 조..
과학·기술
2024. 6. 27. 09:32